반응형
TSMC, ‘반도체 동맹’ 핵심 축 등장…한국의 선택은
TSMC, ‘반도체 동맹’ 핵심 축 등장…한국의 선택은
대만의 반도체 기업 TSMC가 미국과 일본의 기업들과 협력을 강화하며 ‘반도체 동맹’의 핵심 축으로 부상하고 있다. 이 같은 동맹의 배경에는 정보기술(IT) 공급망에서 중국을 배제하려는 미국
news.naver.com
대만의 반도체 기업 TSMC가 미국과 일본의 기업들과 협력을 강화하며 ‘반도체 동맹’의 핵심 축으로 부상하고 있다. 이 같은 동맹의 배경에는 정보기술(IT) 공급망에서 중국을 배제하려는 미국의 노림수가 숨어 있지만 미·일·대만과 중국 가운데 어느 한쪽 편을 들기 힘든 한국의 경우 난감한 상황이 예상되고 있다.
TSMC, 일본에 자회사 신설 등 협력 강화
더불어 눈에 띄는 점은 TSMC가 200억 엔(약 2123억 원)을 투자해 도쿄 인근인 이바라키현 쓰쿠바시에 반도체 R&D 회사를 설립하는 형태로 일본에 처음 진출한다는 것이다. TSMC가 일본에 신설하는 자회사는 반도체 후(後)공정 가운데 하나인 패키징 작업과 관련한 기술 개발을 담당할 계획이다.
TSMC는 일본 자회사 설립 등과 대규모 투자를 위해 총 90억 달러(약 1조 원) 규모의 회사채까지 발행하기로 결정했다. 이와 관련해 니혼게이자이신문은 “TSMC가 앞으로 일본에 파운드리 공장을 설립하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다”면서 일본 정부가 TSMC의 투자를 유치하기 위해 적극적으로 노력해왔다고 보도했다.
TSMC는 대만에서 이미 일본 기업들과 활발하게 협력해왔다. 도쿄 일렉트론, 신에쓰화학, JSR, 스크린 세미콘닥터 솔루션, 섬코 등 일본 업체들은 모두 TSMC의 주요 부품 공급업체들이다. 일본 경제산업성은 반도체를 전략 산업으로 보고 있으며 보조금 등을 지급해 TSMC와 일본 기업들과의 협력 강화를 지원할 방침이다.
TSMC가 미국과 일본에 반도체 파운드리 공장과 R&D 시설을 가동한다면 미국 정부가 구축하려는 중국을 견제하기 위한 ‘반도체 동맹’이 실현될 수 있다. 이 경우 TSMC는 미국·일본·대만의 ‘반도체 동맹’에서 핵심 축이 될 것이 분명하다.
TSMC로서도 미·일 양국 정부의 전폭적인 지원을 받으며 경쟁사인 삼성전자를 제치고 파운드리 시장에서 독주 체제를 완전히 굳힐 수 있는 계기가 될 수 있다. 한국 반도체 업체들은 난감한 입장이다. 삼성전자는 중국 시안, SK하이닉스는 중국 우시·충칭에 반도체 공장을 가동하고 있기 때문에 미·일·대만과 중국 가운데 어느 한쪽 편을 들기 힘든 상황이다.
반응형
'국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드'에 중국비빔밥 PPL이?···시청자들은 "불쾌하다" (0) | 2021.03.15 |
---|---|
서해에 둥둥 떠다니는 中원전, 정말 안전할까? (0) | 2021.03.13 |
흑인시인 작품으로 또 소동, "속성" 이유로 백인 번역자 계약 해제 (0) | 2021.03.11 |
기자들에게 알코올 뿌린 태국 총리 '기행' (0) | 2021.03.10 |
바이든 대통령, 미국민 1인당 1400달러 현금지급! (0) | 2021.03.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