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美제재로 궁지 몰린 화웨이, 돼지농장 알아본다는데...
美제재로 궁지 몰린 화웨이, 돼지농장 알아본다는데...
www.chosun.com
세계 최대 통신장비업체이자 세계 3위 스마트폰 제조 업체인 중국의 화웨이가 미국의 고강도 제재로 스마트폰 사업 위기를 맞으면서 양돈업과 탄광업 등 전통 산업에 눈을 돌리고 있다. 18일(현지 시각) 영국 BBC는 최근 화웨이가 스마트폰 판매 부진에 대응해 ‘스마트 양돈장’ 기술을 보급하기로 했다고 보도했다.
작년 하반기부터 더욱 강화된 미국의 제재로 화웨이의 스마트폰 사업부는 큰 타격을 입었다. 특히 마이크로칩 등 5G 부품 공급에 차질을 빚으며 2020년 4분기 스마트폰 판매량이 42% 급감했다. 일본 니혼게자이신문에 따르면 화웨이는 최근 협력사에 올해 스마트폰 부품 주문량을 60% 줄일 것이라고 고지했다고 한다.
최근 시장조사 업체 트렌드포스는 지난해 삼성전자, 애플에 이어 글로벌 스마트폰 시장 3위였던 화웨이가 올해 출하량이 급감하면서 7위까지 추락할 것이라는 전망을 내놓기도 했다.
화웨이 머신비전사업부의 돤 아이궈는 지난 15일 자신의 웨이보에 “화웨이가 스마트 양돈 기술을 개발했다”며 “필요한 고객의 연락을 환영한다”고 밝혔다.
중국은 연간 전 세계 소비량의 절반인 5000만톤 이상의 돼지고기를 생산하는 최대 양돈 산업국이다. 매년 7억 마리의 돼지를 도축한다. 중국에서는 이미 인공지능(AI)을 이용한 병해충 검출 등 양돈농장의 현대화가 진행되고 있다. 화웨이는 안면인식기술로 개별 돼지를 식별하고, 또 다른 기술과 결합해 돼지의 체중과 식단, 운동을 모니터링할 수 있게 해 준다는 것이다.
화웨이 대변인은 “양돈업은 화웨이가 정보통신기술(ICT) 기술로 전통산업이 더 많은 가치를 창출할 수 있도록 활성화하는 사례 중 하나”라고 밝혔다.
화웨이는 양돈농가를 위한 AI 기술뿐 아니라 ‘스마트 탄광’ 사업도 시작했다. 화웨이 창업자이자 최고경영자(CEO)인 런정페이(任正非) 이달 초 중국 산시성 북부에 탄광혁신연구소를 열었다고 밝히면서 “탄광에서 일하는 노동자를 줄이고 안전성·효율성을 높이는 기술을 개발하겠다”고 했다. 그는 “광부들이 직장에서 수트와 넥타이를 입을 수 있도록 할 것”이라고도 했다.
런정페이는 “화웨이는 탄광과 철강 등 분야로 과감히 진출하는 한편 텔레비전, 컴퓨터, 태블릿과 같은 소비재 부문으로도 사업을 확장할 계획”이라고 했다. 그는 “스마트폰 판매에 의존하지 않아도 생존할 수 있다”며 “미국이 화웨이를 블랙리스트에서 지울 가능성은 매우 낮다”고 말했다.
반응형
'국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녹색당 소속 佛 리옹 시장, 학교 급식에서 고기 제외 (0) | 2021.02.22 |
---|---|
북한 남성 CCTV 4번이나 찍혔는데…육군 경계 실패 왜? (0) | 2021.02.22 |
러시아 "조류 인플루엔자 H5N8형 첫 인간 감염 사례 확인" (0) | 2021.02.21 |
미국 뉴욕서 아시아계 여성 묻지마 폭행 잇따라 (0) | 2021.02.20 |
하버드대 한국계 학생들 '영화가 증거!' (0) | 2021.02.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