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푸틴 “바이든! 건강 쫌 챙겨라이"
독설 교환한 바이든·푸틴, 생방 맞대결?
미국과 러시아 양국 간의 외교적 갈등이 고조되는 상황 속에 양국 정상인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 간의 설전 수위도 최고조에 이르고 있다. 이런 가운데 푸틴
biz.heraldcorp.com
미국과 러시아 양국 간의 외교적 갈등이 고조되는 상황 속에 양국 정상인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 간의 설전 수위도 최고조에 이르고 있다.
이런 가운데 푸틴 대통령이 온라인 생방송 토론을 바이든 대통령에게 제안하면서 글로벌 초강대국 정상 간의 ‘맞짱’ 대결이 현실화될 수 있을지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18일(현지시간) 러시아 타스 통신에 따르면 푸틴 대통령은 이날 자국 TV 방송과의 인터뷰에서 “바이든 대통령과 토론을 계속하자고 제안하고 싶다”면서 “다만 온라인 생방송으로 직접적이고 정직한 대화를 한다는 조건이어야 한다”고 말했다.
푸틴 대통령은 “토론을 너무 미루지 말고 19일이나 22일에 하자”며 구체적인 날짜까지 제시했다. 이번 주말엔 시베리아 타이가 숲에 가서 휴식을 취하고 싶기 때문이란 이유에서다.
그는 “양자 관계와 전략적 안정성, 지역 분쟁 해결 등 많은 문제에 관해 얘기할 수 있을 것”이라며 “미국이 어려움을 겪고 있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대응도 의제가 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
푸틴의 공개토론 제안은 러시아 야권 운동가 알렉세이 나발니 중독 사건과 관련한 미국의 대러 제재와 러시아의 2020년 미 대선 개입 의혹 등으로 양국 관계가 급속히 냉각되고 있는 가운데 나왔다.
양국 정상은 자국 방송과의 인터뷰에서 서로를 향해 독설을 날렸다.
앞서 바이든 대통령은 지난 17일 미 ABC 방송과의 인터뷰에서 푸틴 대통령을 ‘살인자’로 보느냐는 기자의 질문에 “그렇다”고 답했다. 이어 그는 러시아가 2016년에 이어 2020년 미 대선에도 개입했다는 자국 정보 기간의 최근 보고를 근거로 “대가를 치르도록 하겠다”고 경고 메시지를 보내기도 했다.
이에 푸틴 대통령은 바이든 대통령의 ‘살인자’ 발언에 대해 “남을 그렇게 부르면 자신도 그렇게 불리는 법”이라고 꼬집었다. 또 그는 “바이든 대통령은 건강을 챙기는 게 우선일 것”이라고 말했다. 이는 지난해 미 대선 기간 중 고령인 바이든 대통령을 향한 건강 문제 논란이 계속됐던 것을 들고 나와 맞받아친 것으로 해석된다.
푸틴 대통령은 “미국은 아메리카 원주민들을 상대로 대량학살을 저질렀고, 제2차 세계대전에서 일본 히로시마와 나가사키에 원자폭탄을 투하해 무고한 민간인들을 몰살시키기도 했다”고도 공격했다.
양국 정상 간의 날선 공방만큼 행정부 간의 긴장도 첨예하다.
젠 사키 백악관 대변인은 이날 백악관 브리핑에서 ‘바이든 대통령이 푸틴을 살인자라 부른 것을 후회하느냐’라는 질문을 받자 “아니다. 대통령은 직접적 질문에 직접적 답을 한 것”이라고 했다. 기자가 그런 발언이 미러 관계에 건설적이냐는 추가 질문을 하자 사키 대변인은 바이든 대통령이 푸틴 대통령을 오래 알아왔고 양국 문제를 해결해왔다며 “바이든은 계속 그렇게 할 수 있을 것으로 믿고 있다”고 답했다.
러시아도 미국의 잇따른 적대적 조치에 반발해 워싱턴 주재 자국 대사를 긴급 소환했다.
드미트리 페스코프 크렘린궁 대변인은 “미국의 대러 제재와 대선 개입 관련 비난은 증거가 뒷받침되지 않았다”며 “양국 관계에 더 큰 해를 끼칠 것”이라고 반발했다. 이어 “미국의 조치는 어려운 시기를 겪고 있는 미·러 관계를 사실상 막다른 골목으로 몰고 가는 것”이라고 했다.
반응형
'국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무장 공비가 일가족 살해"…북한 김정은 위원장에 손해배상 소송 (0) | 2021.03.20 |
---|---|
중국계 70대 할머니 공격한 백인 남성…되레 얻어맞아 이송 (0) | 2021.03.19 |
북 “말레이시아, 우리 공민 미국에 넘겨…외교관계 단절” (0) | 2021.03.19 |
비자 "비트코인 구매 및 결제·환전서비스" 검토 (0) | 2021.03.18 |
중국 "황사 중국 탓 하지마! 한국!" 한국 "중국이 시비를 걸고 나섰다!" (0) | 2021.03.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