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일본 반응] ‘우토로 재일조선인 마을 증언자’ 강경남 할머니 별세

나나시노 2020. 11. 25. 17:39
반응형

 

 

 

 

 

 

[일본 반응] ‘우토로 재일조선인 마을 증언자’ 강경남 할머니 별세

 

 

 

‘우토로 재일조선인 마을 증언자’ 강경남 할머니 별세

지구촌동포연대 ‘49제 기간’ 부조 모금

www.hani.co.kr

 

 

 

일본의 조선인마을 우토로를 지켜온 강경남 할머니가 지난 21일 별세했다. 향년 95.지구촌동포연대는 23일 강 할머니의 장례절차를 밟고 있다고 밝혔다. 발인은 24일이고 코로나19로 가족장으로 치러졌다.1925년 경남 사천에서 태어난 고인은 9살 때 어머니와 함께 일본에 건너가 18살에 결혼한 뒤 이듬해 1944년 일본 우지시에 있는 우토로 마을로 이주했다. 그는 지금껏 ‘우토로 마을 1세대’ 가운데 유일한 생존자로 남아 역사를 증언해왔다.

 

우토로 마을은 일제 강점기 때 강제노역으로 끌려간 조선인 1300여명이 군 비행장을 건설하면서 생긴 집단거주지다. 해방 이후 땅 주인이 아니라는 이유로 여러차례 쫓겨날 뻔했지만 버텼다. 이러한 소식이 국내에 알려져 2005~07년 대대적인 모금운동이 벌어졌고, 한국 정부와 시민들의 돈으로 우토로 땅 일부를 사들일 수 있었다. 일본 정부가 ‘1기 우토로 시영주택’을 지어 지난 2018년 1월 주민들이 입주했다. 고인은 2015년 <문화방송>(MBC) 예능프로그램 ‘무한도전’의 ‘배달의 무도’ 편에 출연해 재일 조선인의 아픔을 전한 것으로 유명하다.

지구촌동포연대는 “가족장으로 치르지만 강경남 할머니 집에 빈소를 마련하여 49제를 지낸다. 장례식에 참석하지 못한 분들이 헌화를 하는 일본의 장례문화에 따라 한국에서도 강 할머니에 대한 헌화와 조의를 표할 수 있다. 모금액은 빈소의 근조 꽃바구니를 구매하고 유족에게 조의금을 전하는 데 쓰인다”고 밝혔다.

 

 

 

 


 

 

 

<일본 반응>

 

 

 

 

이 기사에는 사실 오인이 있다.
우토로에 살고 있었던 사람 가운데, 대부분은 한국전쟁의 혼란 등으로 전후에 온 사람이고, 토지의 불법점거라고 하는 민사 사안이에요.
거기에 우토로의 혼란은, 토지를 매수한 한국인에게도 문제가 있었을 것이다.
일본은 최후는 국가보조까지 내고, 공영주택까지 정비했는데도, 감사의 한마디도 없네요.



이 사람은 방일 당시 9세이었다.
아버지가 강제로 온 것이라면 가족따위 데리고 못 옵니다. 
일본에 살기 싫으면 귀환사업 때에 귀국하는 것이 자연스럽다.
그것을 귀국하지 않고 돌아가시는 날까지 일본에 계속해서 있었던 이유는 뭡니까? 
풍부함을 요구해서 가족을 데린 이주라고 생각하는 것이 자연스럽지요.

 


소박한 의문이지만, 무엇을 가져서 강제 노역이라고 하는 것인가? 
또, 왜 그런 지독한 나라, 토지에 몇십년이나 계속해서 사세요? 이해가 가지 않는다
한국 정부, 미디어의 대부분은, 이렇게 사실이나 물적 증거를 내지 않고, 단지 반일감정을 부채질하기 위한 자극적인 수식자를 붙이고 보도하고 있습니다.



토지의 소유자가 아닌 것이기 때문에 불법점거, 퇴거를 요구하는 것은 당연합니다 
당시부터, 귀국 사업이 진행하고 있었을 텐데 왜 일본에 있었니?

 


전쟁도 본격화되지 않았던 시기에 9세를 강제동원은 하지 않기 때문에, 가족동반의 이민입니다.
결혼도 했기 때문에, 제대로 권리도 인정을 받고 있었던 것을 안다



강제적으로 데리고 간 증거는 있니?

 



9세 소녀가 자발적으로 해외 출국할 수 있을 리가 없지요.
강제적으로 데리고 간 거에요, "부모"가요


> 땅 주인이 아니라는 이유로 여러차례 쫓겨날 뻔했지만 버텼다
위법행위를 뻔뻔스럽게 정당화.


이러한, 사실에 근거하지 않는 기재는 정말로 곤란한다

>우토로 마을은 일제 강점기 때 강제노역으로 끌려간 조선인 1300여명이 군 비행장을 건설하면서 생긴 집단거주지다. 


자리잡고 사는 한반도 출신자를 의지하여 자발적으로 모였어요. 이젠 조업 정지됐지만, 주변 일대가 껌 원료로 냄새가 난 공장이 있었던 신오쿠보도 또 같다.

 

동향인을 의지해 모이는 것 자체는 자주 있는 일이지요. 그러나, 사실관계를 창작하면 안되지요. 100번 말하면 사실이 되어버리는 나라네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