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에 붙여서 먹은 것을 감지하는 초극소 센서가 개발된다
몸에 달아서 몸 상태나 변화를 기록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최근 빠른 속도로 발달중입니다. 미국 터프츠 대학교 연구 그룹은 「이에 붙여서 먹은 것을 감지 가능한 극소 센서」 개발에 성공했습니다.
터프츠 대학교 공학부 연구 그룹이, 간단히 이에 다는 것이 가능하고, 글루코오스·염분·알코올 섭취 등에 관한 정보를 모바일 기기에 무선통신으로 송신가능한 극소 센서를 개발했습니다. 이 연구 결과는 재료공학 전문지인 ADVANCED MATERIALS지에 게재될 예정입니다.
종래의 음식물 섭취를 감시하기 위한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입을 가릴 만큼 대형이고 배선도 연결된 상태있었습니다. 그러나, 터프츠 대학교 연구 그룹이 개발한 초극소 센서는, 불과 2밀리미터 사방 면적으로, 이의 표면에 존재하는 울퉁불퉁에도 대응해서 붙이는 것이 가능합니다.
센서는 층이 3개가 겹치고 있어, 4각형 금으로 형성된 2장의 외층에 끼워져 있었던 한복판 「생체 반응」레이어가, 영양소나 화학물질을 감지하는 구조가 되고 있습니다. 센서는 안테나 역할을 다하고, 모바일 기기에서 발신되는 주파수 일부를 흡수하고, 흡수되지 않은 파장을 그대로 모바일 기기에 돌려줍니다.
그런데, 생체 반응 레이어가 소금이나 에탄올에 반응하면 센서 전기적 특성이 변화되고, 센서가 흡수하는 주파수 범위가 변화됩니다. 그것에 의해 모바일 기기에 돌아오는 파장이 변화되고 「지금, 센서는 소금을 감지하고 있다」 「알코올을 감지하고 있다」라고 한 분석이 가능해집니다.
연구 그룹 Frank C. Doble 교수는 「이론적으로는 센서를 소금이나 알코올뿐만 아니라, 더 다른 화학물질의 검출에 이용하는 것도 가능합니다」라고 진술하고 있어, 초극소 센서를 더욱 성능이 좋은 것에 개량하는 것으로, 보다 광범위한 영양소나 화학물질의 섭취, 구내에서 체내의 생리학적 상태를 모니터하는 것이 가능해진다고 합니다.
'IT,과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람은 자지 않으면 어떻게 되어버리니?」를 해설한 무비가 공개중 (0) | 2018.03.25 |
---|---|
「2020년까지 EV 양산은 수지가 맞지 않는다」라고 BMW가 말한다 (0) | 2018.03.24 |
화분증을 근본적으로 치유하는 백신! 화분증 치료법이 드디어 최종적인 임상시험! (0) | 2018.03.23 |
AR기기 성능을 비약적으로 향상시켜 Apple도 착수하는 「마이크로 LED 디스플레이」 실용화가 다가온다 (0) | 2018.03.23 |
HDD 읽고 쓰기 속도를 2배로 하는 멀티액츄에이터 기술 「MACH.2」을 씨게이트가 발표 (0) | 2018.03.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