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기업법 시달린 韓 기업들, 글로벌 순위 '와르르'
반기업법 시달린 韓 기업들, 글로벌 순위 '와르르'
[파이낸셜뉴스] 글로벌 500대 기업에서 한국 기업의 순위가 대거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문가들은 당정의 무리한 반기업법 추진에 따른 결과로 삼성전자, SK 등 내로라하는 한국기업들의 경
news.naver.com
[파이낸셜뉴스] 글로벌 500대 기업에서 한국 기업의 순위가 대거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문가들은 당정의 무리한 반기업법 추진에 따른 결과로 삼성전자, SK 등 내로라하는 한국기업들의 경쟁력이 저하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삼성전자도 하락·하이닉스는 탈락
1일 한국경제연구원이 '2020 포춘글로벌 500'을 바탕으로 한국·미국·일본·중국의 글로벌 기업 수, 매출액, 매출비중 지표를 분석한 결과 한국 기업의 경쟁력이 크게 후퇴한 것으로 조사됐다.
500대 기업에 포함된 한국 기업 수는 총 14개사로 2019년 16개사 대비 2개사가 감소했다. 반면 중국은 119개사에서 124개사로 5개사 증가했고, 일본은 52개사에서 53개사로 1개사 늘었다. 미국은 2019년과 2020년 모두 121개사로 변동이 없었다.
국가별 매출액 합계는 미국(+4.3%)과 중국(+4.8%)은 전년 대비 증가했고, 일본은 소폭 감소(-0.2%)했다. 이에 비해 한국은 두자리 수(-12.0%)로 감소폭을 보였다. 매출액 비중 측면에서도 한국과 일본만 감소했는데 한국의 감소폭(-0.4%p)이 일본(-0.2%p)의 두배에 달했다.
글로벌 500대 기업 중 한국 기업의 매출액은 2019년 9094억2000만 달러에서 2020년 8004억1000만 달러로 12.0% 쪼그라들었다. 미국은 2019년 9조4024억8000만 달러에서 2020년 9조8063억 달러로 4.3% 증가했다. 중국도 7조9149억1000만 달러에서 8조2949억3000만 달러로 4.8% 증가했다. 일본은 3조1291억3000만 달러에서 3조1241억3000만 달러로 0.2% 감소했다.
한국 기업의 매출액이 글로벌 500대 기업의 매출액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2019년 2.8%에서 2020년 2.4%로 0.4%p 줄어들었다. 이에 반해 미국(28.8%→29.5%)과 중국(24.2%→24.9%)은 각각 0.7%p씩 증가했다. 같은 기간 일본은 9.6%에서 9.4%로 0.2%p 감소했다.
한국 기업들의 포춘 글로벌 500 순위 하락도 두드러졌다. 14개사 중 10개사의 순위가 하락했고, 순위가 상승한 기업 수는 4개사에 그쳤다. 삼성전자(15위→19위), SK(73위→97위), 포스코(171위→194위), LG전자(185위→207위), 한국전력(193위→227위) 등 한국을 대표하는 기업들의 순위가 대폭 하락했다. SK하이닉스와 LG화학은 500대 기업 명단에서 아예 빠졌다.
삼성전자의 경우 2016년 애플에 순위 역전(애플 9위, 삼성전자 13위)을 허용한 이후 2020년 현재 순위 격차가 7단계(애플 12위, 삼성전자 19위)로 크게 벌어졌다. 49위를 기록한 중국의 화웨이와 삼성전자의 격차도 1년새 46단계에서 30단계로 좁혀졌다.
전년 대비 순위가 상승한 기업은 현대차(94위→84위), 현대모비스(393위→385위), KB금융(434위→426위), CJ(463위→437위) 등 4개사였다.
반응형
'국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푸틴 "84세까지 대통령 2번 더"…'정적' 나발니는 단식 중 코로나 증상 (0) | 2021.04.06 |
---|---|
러시아에서 가장 꽃미남은 푸틴 대통령! 아무런 부정이 없는 여론 조사로 판명! (0) | 2021.04.03 |
천안함 재조사에… “靑 앞에서 죽고 싶은 심정” 생존장병 분노 (0) | 2021.04.01 |
사자 대타 뛰는 골든 리트리버? 해도해도 너무한 中 동물원 (0) | 2021.03.31 |
쿠데타를 일으킨 미얀마 국군, 공폭으로 국민의 대량 학살을 시작해버린다 (0) | 2021.03.30 |